.
척추 뼈와 뼈 사이의 디스크가 탈출 되어
주위의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불립니다.
탈출 된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의 통증과
다리의 방사통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요통과 함께
엉치, 허벅지, 종아리, 발끝이
저리고 아픈 증상
허리가 아프고
쑤시는 증상
허리에
묵직한 느낌의 통증
허리를 숙이거나
앉아 있을 때 통증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에
황색인대나 가시뼈가 자라나 좁아져
신경을 누르는 질환으로
주로 50대 이후 척추의 퇴행성으로 진행되며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눌려 염증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밤에 종아리 통증이
심한 경우
장시간 걸으면
다리가 아프거나 힘이 빠지지만
쪼그려 앉아 쉬면 편한 경우
허벅지부터 종아리까지
당기고 저린 경우
다리 근육이 가늘어지고
힘이 떨어지는 경우
10대 청소년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척추측만증은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봤을 때
일자를 그려야 하는 척추 정렬이
S형으로 휘어지면서 몸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되는 척추질환입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허리를 앞으로 90도 구부렸을 때
양쪽 어깨와 등 높이에
차이가 나는 경우
양쪽 다리의 길이의 차이가 있고,
한쪽 신발 밑창이 먼저 닳는 경우
한쪽 어깨뼈가
돌출된 경우
서 있을 때
외관상골반이나 쇄골, 날개뼈의
높이가 다른 경우
척추의 위쪽과 아래쪽의 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리처럼 생긴 관절돌기가 손상을 입거나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척추의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하여 위 척추 뼈가 아래 척추 뼈보다 앞으로 밀려나며
척수 신경이 눌리게 되어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질환입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앉아 있다가 일어서서 걸을 때
허리통증이나 다리 저림
증상이 나타남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더 심해짐
오래 서있거나 많이 걷고나면
허리나 엉치, 무릎 밑까지의
통증
허벅지 뒤쪽 근육이 당기고
앞으로 구부리지 못하고
다리를 들어올리기 어려움
보행 시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느껴짐
척추 염증으로 척추가 딱딱하게 굳으면서
움직임이 둔해지는 염증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병이 진행함에 따라
등이 앞으로 구부러지고 가슴을 좌우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등 척추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기를 침범해 관절 통증, 인대 및 힘줄의 염증,
포도막염, 폐섬유화, 신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전신성 질환입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앉아 있다가 일어서서 걸을 때
허리통증이나 다리 저림
증상이 나타남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더 심해짐
오래 서있거나 많이 걷고나면
허리나 엉치, 무릎 밑까지의
통증
허벅지 뒤쪽 근육이 당기고
앞으로 구부리지 못하고
다리를 들어올리기 어려움
보행 시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느껴짐
.